3월의 주제 : 3D 바이오 프린팅 시장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산업
3월의 주제 🖨️ 3D 바이오 프린팅 시장 |
|
|
3D 바이오 프린팅은 생체 세포, 바이오 소재, 바이오 잉크 등을 정밀하게 적층해 기능성 3D 장기, 조직 구조물 등을 제작하는 기술입니다. 재생의학이 의료 산업의 핵심 분야로 주목받으면서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에 대한 수요도 급증했습니다. 특히 이 기술은 인공 장기 및 조직 개발, 손상된 조직의 복원 및 대체 분야에서 역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고령층의 증가가 수요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9년 기준 60세 이상 노인 인구가 약 10억명이라고 밝혔으며, 2030년까지14억명, 2050년에는 21억명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환자 맞춤형 장기 및 조직 모델 개발, 신약 개발의 성능 및 부작용 시험에 활용되는 3D 바이오 프린팅의 중요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
|
|
🗞️IARC에서 볼 수 있는 연관 리포트
👨🏫IARC 리서치 애널리스트의 의견은?
Q. 가장 주목해야 할 지역은 어딘가요?
(애널리스트A) 아시아는 노인 인구 증가에 기인해 시장 성장률이 연평균 20%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화로 인한 재생의학, 암 치료, 줄기세포 치료 수요 증가가 아시아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 의학 시장 규모가 1조엔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의 신에너지 및 기술 개발 위원회(NEDO)는 3D 바이오 프린팅이 향후 연구개발을 주도할 핵심 기술로 선정했으며, 공공기관, 민간 기업, 벤처 자본 및 연구기관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투자가 확대하고 있습니다.
Q. 가장 주목해야할 분야는 무엇인가요?
(애널리스트B) 바이오 제약 기업의 전체 시장의 41%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 및 조직 대체 및 복구를 위한 3D 바이오 프린팅 분야 지원 확대에서 기인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바이오 제약 산업 내 혁신적인 스타트업 및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I-Corps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식약처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융복합 제품 개발 시 안전성과 효과성 확보를 위한 지원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지원 확대는 바이오 제약 기업이 신약 연구, 재생의학 분야 기술 개발을 위한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 도입 확대로 이어져 시장 성장을 견인합니다.
|
|
|
🏢TOP 5 대표 기업
- Genesis Healthcare
- Desktop Metal, Inc.
-
Bico Group AB
-
Cellink Global
-
Revotek co., ltd.
🌠TOP 5 스타트업
-
SPEBIO
-
Axolotl Biosciences
-
Volumetric
-
Brinter
-
4D Biomaterials
|
|
|
✅최신 규제, 인증 M&A 현황
- 3D 바이오 프린팅 전문기업인 티앤알바이오팹은 독일 헬스케어 기업인 B.Braun Korea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두술용 비고정형 임플란트 및 제조방법’을 개발해 국내 특허를 취득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금속 소재나 골시멘트를 생분해성 소재로 대체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환자 부작용을 줄이고, 개두술을 포함한 두개 안면골 외상 환자의 치료에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 POSTECH 및 서울대병원 연구진은 2025년 1월 ‘뇌혈관 특이적 탈세포화 세포외 기질’ 소재를 활용한 바이오잉크를 개발했으며, 이를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과 결합해 뇌혈관 장벽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그대로 구현한 3D 구조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 모델을 통해 파킨슨병을 포함한 신경염증 관련 병리학 기전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024년 이스라엘의 전자기기 3D 프린터 제조업체인 Nano Dimension은 3D 프린팅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Desktop Metal을 1억 3,500만-1억 8,300만 달러에 전액 현금으로 인수했습니다. 또한, BICO 그룹(Cellink)은 바이오 프린팅 시장 내 점유율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인수합병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Carnegie Mellon University를 포함한 교육기관은 3D 바이오 프린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도입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은 3D 바이오 프린팅 산업의 역동성을 보여주며, 전문 교육 제공 및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관련 전시 및 세미나 정보
이탈리아 로마, 9월 15-17일
프라하 체코, 10월 8일
- Swiss Biotech Day, 스위스 바젤, 5월 5-6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