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s . Research . Consulting - IndustryARC

[뉴스레터] ICT 산업 Vol.3 글로벌 광섬유 시장

4월의 주제 : 글로벌 광섬유 시장
ICT 산업
4월의 주제 💡 글로벌 광섬유 시장
🌐글로벌 시장 개요
글로벌 시장 규모
1억 달러 
연평균 성장률(CAGR)
13.6%

광섬유 시장이란 빛을 매개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는 광섬유 관련 기술·제품·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산업을 말합니다. 광섬유는 전기가 아닌 빛(레이저 또는 LED)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주로 통신, 데이터 센터, 방송, 의료, 군사,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최근 광섬유 시장은 전세계 인터넷 사용자 증가로 인한 데이터 트래픽 급증, 5G 및 차세대 통신망의 확산, FTTH(Fiber To The Home)의 확대, 데이터 센터 및 클라우드 인프라의 고도화 등의 요인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특히 FTTH방식의 보급 확산과 5G 기지국 간 백홀 구축 수요 증가로 통신 인프라가 현재 가장 점유율이 높은 분야입니다. 데이터 핵심 전송 매체인 광섬유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수록 모든 산업에 걸쳐 필수 요소로 인식되면서 중요성이 높아지기에,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IARC에서 볼 수 있는 연관 리포트


👨‍🏫IARC 리서치 애널리스트의 의견은?

Q. 가장 주목해야할 지역은?
(애널리스트A) FTTH 보급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고 내수 수요 기반이 큰 중국은 광섬유 산업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국가입니다. 현재 글로벌 광섬유 생산량의 약 5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YOFC, Hengtong, FiberHome 등 주요 자국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과 공급망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부 역시 “디지털 중국” 전략을 추진하며, 5G 확산과 농촌 지역 인터넷 인프라 구축 등 대규모 프로젝트에 직접 투자하고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도 자체적인 원료 생산에서 최종 케이블 제조까지 가능하며, 광모듈 및 트랜시버 등 관련 부품 산업도 함께 육성 중입니다. 이처럼 중국은 공급·수요·기술의 3박자를 모두 갖춘 글로벌 광섬유 시장의 핵심 국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Q. 가장 주목해야할 분야는?
(애널리스트B) 광섬유 시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분야는 부품 분야입니다. 글로벌 통신 인프라의 고도화가 가속화되면서, 광섬유 케이블뿐 아니라 커넥터, 증폭기, 분배기 등 관련 부품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대역 인터넷과 모바일 네트워크 보급이 활발히 진행 중인 개발도상국 시장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중장기적 투자 기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광섬유 커넥터와 증폭기는 핵심 부품으로 꼽힙니다. 광섬유 커넥터는 광섬유 케이블 간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접속을 보장하여, 네트워크 품질과 유지보수 효율성에 직결되는 요소입니다. 또한 장거리 데이터 전송이 늘어남에 따라, 신호 손실을 보완하는 에르븀 도핑 광섬유 증폭기(EDFA)등 고성능 증폭기 수요 역시 확대되고 있습니다.  



🏢TOP 5 대표 기업

  1.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3. Corning Inc.

  4. Fujikura Ltd

  5. Prysmian Group


🌠TOP 5 스타트업

  1. CogniFiber

  2. Varda Space Industries

  3. MicroAlign

  4. Prisma Photonics

  5. Innoviz



✅최신 규제, 인증 M&A 현황

  • IEC 60793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제정한 국제 표준으로, 통신, 데이터 전송,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광섬유의 구조적·광학적 특성 및 시험 방법을 정의합니다. 해당 표준은 글로벌 광섬유 산업의 품질 확보 및 상호 운용성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원자력 시설의 안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스플라이스의 환경 적합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규제 가이드라인 DG-1427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IEEE 1682-2023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안전 시스템 내 광섬유 적용에 필요한 환경 적합성 요건과 검증 절차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이는 원자력 산업 내 신뢰성 높은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한편 2025년 한 해 동안 미국 내 400개 이상의 소규모 광섬유 제공업체들이 대형 통신사 또는 사모펀드에 의해 인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AI, 엣지 컴퓨팅, 스마트 인프라 등 신기술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프라 통합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광섬유 기반 네트워크의 속도 향상 및 지연 최소화 요구가 증가하면서, 기존 로컬 사업자의 자산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대표적 광통신 사업자인 Zayo Group은 최근 Crown Castle의 광섬유 솔루션 사업부를 약 42 5천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발표했습니다. 이번 인수는 Zayo가 광대역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다각화하려는 전략적 선택입니다.


  • 국내 광통신 전문 기업인 FOSTEC은 광섬유 융착접속기 ‘FS-23S’‘FS-23M’을 출시하고 예약 주문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신제품은 고속 융착 기능과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어 현장 설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 특징입니다. 영국의 광통신 인프라 기업 Freedom Fibre Zen Internet과 협력하여 최대 8.8Gbps의 속도를 제공하는 FTTP 상품 ‘FibrePlus’와 최대 10Gbps의 전용 이더넷 서비스 ‘FibreDirect’를 함께 출시했습니다. 이번 제품은 기업 고객 대상 고속·전용 광섬유 통신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차세대 업무 환경과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도입을 고려한 고성능 연결성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2019년에 채택된 EU 사이버보안법은 유럽연합 전반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는 핵심 규정입니다. 이 법은 디지털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고 기술에 대한 신뢰를 높이며, EU 전역의 사이버 보안 표준을 인증하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관련 전시 및 세미나 정보

  • GITEX Asia 2025, 4 23– 25, 싱가포르 

  • 베트남 광섬유 통신 및 ICT 전시회 2025, 11 19– 21, 베트남 호치민

  • ECOC 2025, 9 28– 10 2, 덴마크 코펜하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