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주제 : 글로벌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 전자 산업
5월의 주제 🔌 글로벌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 |
|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통합된 구조로 구성된 임베디드 시스템은 속도, 전력 효율, 소형화, 정확성, 신뢰성이 특징이며 실시간 처리를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반 기술로서, 자동차, 산업, 헬스케어, 소비자 전자 등 전방위 산업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데요.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으로는 소비자 전자기기의 보급 확대, 제조 및 공정 자동화 수요 증가, 그리고 자동차 산업 내 ADAS 및 자율주행 기술 도입 확산이 꼽힙니다. 특히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 일상적인 소비자 전자기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따른 산업 자동화 수요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가파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입니다. 반면 고급 기능을 저비용으로 제공해야 하는 기술적·경제적 압박과 시스템 복잡도 증가에 따른 개발 시간 및 비용 부담은 시장 성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
|
🗞️IARC에서 볼 수 있는 연관 리포트
👨🏫IARC 리서치 애널리스트의 의견은?
(애널리스트A) 글로벌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은 지역별로 상이한 성장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은 2022년 기준 약 390억 달러 규모의 가장 성숙한 시장으로, 자율주행차 및 전기차 확산에 따른 차량용 제어 시스템 수요, 방위산업의 전자제어 기술 수요, 정밀의료 및 스마트 헬스케어의 기술 도입, IoT·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인프라 확대가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소비자 전자제품과 자동차 생산의 중심지로 대규모 임베디드 시스템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데요. 특히 ‘Digital India’ 및 ‘Made in China 2025’ 등 주요국 정부 주도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5G 통신망 확대가 시장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독일 중심의 스마트 팩토리 구현, 친환경 전기차 확산, 통신 인프라 현대화, 방위·항공우주 분야의 기술 수요를 통해 점진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중동·아프리카·중남미 등 기타 지역은 스마트시티, 에너지 인프라,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규 프로젝트 중심으로 수요 기반이 점차 확대되는 양상입니다.
(애널리스트B) 5G, IoT, 차량 통신 등 고속·저지연 환경의 확산에 따라 임베디드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 역량이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자동차 분야에서 ADAS와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힘입어 시장이 계속 확대될 전망입니다. 특히 자율주행 기술에서 센서 융합, 경로 판단, 차량 제어 등 복잡한 실시간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고성능 임베디드 시스템이 차량의 핵심 제어 플랫폼으로 작동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산업 자동화 관련해서는 생산 설비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로봇 협업, 예지보전 등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기반 기술로 임베디드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이 밖에 헬스케어(웨어러블·원격 진단), 소비자 전자(차세대 기기 통합)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임베디드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향후 AI 및 IoT 융합 기반의 스마트홈·스마트시티·스마트제조 확산, 에너지 효율·보안성 강화, 엣지 컴퓨팅 및 모바일 환경 대응에서 활용 영역이 더욱 확대 및 고도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
|
|
🏢TOP 5 대표 기업
-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
Intel Corporation
-
HCLTech
-
STMicroelectronics
-
Texas Instruments
🌠TOP 5 스타트업
-
NXP Semiconductors
-
Silicon Labs
-
ON Semiconductor
-
Microchip Technology
-
Cypress Semiconductor
|
|
|
✅최신 규제, 인증 M&A 현황
-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 관련 분야에서 사이버 보안 위협이 현실적인 리스크로 부상하며 각국 정부 및 산업계가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24년부터 시행된 사이버 복원력법(Cyber Resilience Act)을 통해 임베디드 장비를 포함한 모든 ‘연결 가능한 제품’에 대해 보안 설계, 업데이트 유지, 취약점 대응 등을 의무화하고 있는데요. 미국도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기준 및 식품의약국(FDA)의 의료기기 사이버 보안 가이드라인을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요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제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보안 기능을 내장하는 ‘시큐어 바이 디자인(Secure by Design)’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ISO/SAE 21434(차량용 사이버 보안), IEC 62443(산업 제어 시스템 보안) 등 국제 인증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업의 전략을 살펴보면, NXP Semiconductors는 2025년 오스트리아 TTTech Auto를 인수하며 자동차 안전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였고, Renesas Electronics, STMicroelectronics, Texas Instruments는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및 제어 플랫폼을 확대 중입니다. Qualcomm과 Broadcom은 IoT 및 AI 특화 칩셋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Intel과 AMD는 고성능 컴퓨팅(HPC) 및 데이터 센터 영역으로 임베디드 아키텍처를 확장하는 추세입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서의 강점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가전,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 임베디드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하며 생태계를 넓히고 있습니다. 신제품 출시 측면에서는 엣지 AI와 관련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STMicroelectronics는 2024년 12월 엣지 AI 및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STM32N6 시리즈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출시해 소비자 및 산업 전자 제품에서 이미지 및 오디오 처리 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 Raspberry Pi는 2024년 8월 신형 RP2350 ARM/RISC-V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의 Raspberry Pi Pico 2를 출시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유지하는 등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관련 전시 및 세미나 정보
-
Embedded Online Conference, 2025, 5월 12-16, 온라인 개최
-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bedded Software and Systems(ICESS), 2025, 6월 26-28, 영국 엑서터
-
Embedded Systems Week(ESWEEK), 2025, 9월 28-10월 3, 대만 타이페이
-
Embedded World North America, 2025, 11월 4-6,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
|
|
|